1960년대 말의 서귀포 전경.
서귀포 최초의 관광호텔이 들어서고 이 호텔의 하얀 굴뚝이 시선을 끈다. 포구에 들어와 있는 배도 대형화 추세를 엿볼 수 있다.
1960년대의 관덕로.
우생당책방과 남도치과, 국제미싱사와 나포리미싱사, 이런 간판들이 보이고 제주여행사의 간판도 눈에 띈다.
1970년대의 제주시가 전경.
지금 KAL호텔이 있는 쪽에서 내려다본 1970년대의 제주 시가지 모습이다.
병문천 하류에서의 멸치잡이.
여름날 병문천 하류에서 젊은이들이 밀려온 멸치떼를 그물로 잡고 있다. 재 깊숙이 까지 멸치떼가 밀려 오는 일은 과거에는 흔했었다. 그 하류에는 멱감는 아이들이 떼지어 있다.
탐라의 미인들.
제1회 탐라미인 선발대회에서 영예롭게 선발된 탐라미인과 준탐라미인이다. 이 때 탐라미인으로 선발된 高麗珍씨는 나중 아나운서로 중앙에서 활약한다.
화창한 철쭉제 날, 백록담에 운집한 인파이다.
전국 대학생 적설기 등반.
제주대학이 주최가 되어 제1회 전국 남녀대학생 적설기 한라산 등반대회가 열리고 있다. 출발에 앞서 관덕정 앞에서 식이 거행되고 있는 장면이다.
산지천의 복개.
냇가에 모여 살던 무허가 주택들이 철거되고 산지천이 복개되기 시작할 무렵이다.
1960년대의 서문로.
상가가 줄지어 서있는 서문로에 차와 사람들이 엉키어 있다. 이때 이미 도로 사정은 엉망이었던 모양이다.
애월리 중심가에서의 전기 점화가 되던 날이다. 오색 깃발이 날리고 아치에 전구도 매달려 있다.
동문로의 포장 준공.
도로가 확장 포장되고 하수도 시설도 이루어져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리고 있다.
고구마 썰어 말리기.
산방산 부근의 밭에서 고구마를 기계로 썰어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말린 고구마는 주로 주정의 원료로 쓰여졌다.
비양도에 수도 가설을 위한 해저수도를 매설하고 있다. 섬주민들의 작은 배들이 공사에 동원되었다.
수도 통수식.
쇠파이프를 통하여 수돗물이 나온다. 한 평생 물허벅을 지느라 등이 굽은 할머니가 컵에 물을 받아 마시고 있다.
물맛과 감회가 어떨까. 좋은 세상 왔다고, 둘러서 있는 사람들의 표정이 너나 없이 밝다.
제주에서 서귀간 횡단도로 개통.
5·16혁명 이후에 제주의 가장 큰 변화를 불러온 것은 한라산 동녘 기슭을 관통하여 첫 번째 횡단도로가 개통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로써 제주가 명실공히 1일 생활권이 되었다.
바다를 배경으로 한 제주시가지 전경.
삼성혈(三姓穴) 서쪽편 언덕에서 내려다 본 제주 시가지의 전경이다. 바다가 병풍처럼 둘려 있고 그 안에 제주시가지가 담겨 있다.
오른편 건물은 제주여고이며 지금은 그자리에 KAL호텔이 들어서 있다.
도두동 포구의 물맞이.
과거 제주시 도두동 포구가의 물맞이터이다.
조천포구와 연북정.
돛을 내리고 포구에 정박한 배가 마냥 한가롭다. 그너머로 멀리 연북정의 기와지붕이 보인다.
(퍼온 글)
'자파리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 수가 있나 (0) | 2011.06.29 |
---|---|
[스크랩] CF에서 빌려왔습죠 (0) | 2011.06.23 |
[스크랩] 차귀도의 6월 (0) | 2011.06.15 |
[스크랩] 머리 깎아 드릴게요 (0) | 2011.06.06 |
[스크랩] 이 나무를 아세요? (0) | 201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