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파리님

[스크랩] 해상도와 디카 용어

속심해 2013. 12. 13. 20:04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카메라의 필름 대신 CCD와 같은 전자적 센서와 스마트미디어같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담는 카메라를 말합니다. 그래서 사진이 필름에 담기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로 저장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외의 렌즈나 셔터, 조리개 등의 기본적인 부품은 일반카메라와 같습니다. 디지털카메라는 필름대신 CCD라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소자에서, 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영상을 한순간에 캡쳐하여 디지털방식으로 기록미디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찍습니다. 따라서, 필름의 역할은 CCD와 기록미디어가 나누어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기록된 화상은 컴퓨터에 전송되거나 직접 프린터로 보내져 출력하게 됩니다.

촬영소자는 상당히 많은 수의 CCD소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소자 하나 하나를 화소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화소수가 많다는 것은 화상을 구성하는 픽셀이 많다는 것으로 그 만큼 고해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픽셀(Pixel): Pixel은 picture 와 cell을 결합시킨 합성어로 디지털 이미지 구현의 최소 단위를 말하는데, 화소라고 번역합니다. 예를 들면 1024x768의 모니터 해상도는 가로 1024개의 픽셀이 있고 세로로는 768개의 픽셀이 있다는 말이 되구요. 둘을 곱하면 786,432개의 픽셀로 모니터의 화면이 구성된다는 뜻입니다. 즉, 모니터의 성능 이 약78만 화소라는 말입니다. 모니터의 경우는 설치된 그래픽 카드에 따라 지원 가능한 모니터의 해상도가 달라집니다.

해상도가 높다는 말은 동일한 공간에 그만큼 많은 픽셀이 존재한다는 말이고, 이를 달리 말하면 픽셀의 사이즈가 작다는게 됩니다. 따라서 이미지를 더욱더 정교하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픽셀의 용량을 간단히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만 화소(pixel)의 파일의 용량은

1) 1,000,000x3=3,000,000(컬러정보는 RGB 3색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3을 곱하는 것입니다.

2) 즉, 300만 바이트 입니다. 여기에서 1024(1Kb는 1024Byte이다)를 나누면 2929Kb이고, 이를 또 1024(1Mb는 1024Kb이다)로 나누면 2.86Mb가 됩니다.

300만 화소는 8.58Mb가 됩니다. 300만 화소 정도 의 파일 용량이면 풀칼라 프린터에서 8x10인치 사이즈의 사진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8.58Mb정도의 파일 용량이 되어야 8X10인치 사이즈의 고품질의 사진을 출력 할 수있다는 뜻입니다.

해상도(Resolution): 해상도는 보통 PPI(pxels per inch) 또는 DPI(dots per inch)라는 단위를 사용 합니다. 예를 들어 300 DPI는 1인치의 길이에 점(dot)이 300개 있다는 것이고, 300PPI는 1인치의 길이에 300개의 화소(pixel)가 있다는 뜻입니다. DPI는 주로 출력물의 해상도를 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말입니다.
내용출처 : [기타] http://digitalsajin.com

 

======================================================= ☆

카메라 용어


가이드 넘버 (guide number)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에서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실용적으로 표시한 숫자를 말한다. 약자로 GN이며 수치가 클수록 광량도 많아진다. 광원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 (일반적으로 feet)를 가이드 넘버로 나누면 F수(조리개 값)가 된다.

즉, 가이드 넘버 / 촬영거리 = 적정 조리개 값
가이드 넘버 / 적정 조리개 값 = 촬영거리(발광거리)

강제발광
플래쉬 모드의 한 종류로 한낮에도 플래시를 자유롭게 발광시키는 기능이다.

감도 (sensitivity)
필름이나 인화지 등의 빛을 느끼는 정도를 약칭하여 감도라고 한다. 조리개를 더 넓게 개방함으로써 보다 많은 빛이 들어오게 하는 렌즈의 상대적인 능력이다. 감도표시는 미국의 ASA, 독일의 DIN, 영국의 BIS, 일본의 JIS 등 나라마다 다르게 하고 있었으나, 1981년부터 국제적인 표시로서 ASA와 DIN을 토대로 한 ISO가 사용되고 있다.

감마 (gamma)
감광재로의 콘트라스트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로 특성곡선의 경사도, 즉 농도의 변화 / 노광량의 변화를 말한다. 단위로 g(감마)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개방측광 (full-aperture metering)
방식 렌즈의 조리개를 개방한 채 조리개를 죄었을 때와 같은 조건으로 측광할 수 있도록 고안된 TTL 측광 방식이다. 조리개 링을 회전시키면 전기적인 저항 값이 변하면서 기계적으로 노출계의 회전을 컨트롤하여 적정한 셔터 속도를 표시한다.

고스트 이미지 (Ghost image)
태양광과 같은 매우 밝은 광원을 촬영하면 렌즈 내의 오목면에 반사되어 광원부와 대칭적인 화면 위치에 플레어 (flare)가 생겨 화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이것을 고스트 이미지라 한다.

계수 (factor)
필터를 사용함으로 생기는 광선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증가시켜야 하는 노출의 양을 표시하는 수치이다.

계조 (gradient)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에서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을 어느 정도의 단계로 표시하는지에 대한 것을 계조라고 말한다. 계조의 스텝수가 많으면 보다 충실한 이미지 재현이 가능하다. 보통의 디지탈 카메라에는 RGB 각각의 색신호에 대해 256단계의 계조를 가지고 있고 이들 3가지 색이 256색의 단계를 표현하여 총 1,677만 색상의 트루컬러를 재현한다. 하이라이트, 쉐도우가 존재하고 중간농도가 풍부하면 그라데이션이 좋다고 하며 중간농도의 범위가 좁으면 콘트라스트가 강한 사진이 되기 쉽다.

과다 노출 (overexposure)
노출이 과다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밝게 하이라이트된 부분의 컬러는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사실상 복원이 불가능하다.

과 초점거리 (hyperfocal distance)
렌즈의 초점거리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 카메라로부터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초점이 맞기 시작하는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관용도 (latititude)
화상의 질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노출과다나 노출 부족의 정도로 특성곡선에서 직선부분의 휘도 값이라 할 수 있다. 관용도가 클수록 어두운 곳에서도 노이즈가 적게 발생한다.

광각 렌즈 (wide-angle lens)
표준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를 말하며 화각이 60도 이상으로 넓다. 일반적으로 28~40mm 정도를 말하며 25mm 이하는 초광각 렌즈로 구분한다. 표준렌즈에 비해 넓은 범위로 찍히며 촬영 대상이 렌즈에 가까울수록 크게 과장된다. 광범위하게 촬영되고 배경은 작게 찍히므로 원근감이 강조된다.

광각 왜곡 (wide-angle distortion)
광각 렌즈로 피사체에 접근해서 촬영할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로 피사체의 형태가 길게 늘어나 보이거나 원래의 위치보다 더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광원
사진에서 말하는 광원은 촬영용 조명 광원을 말한다. 자연광으로는 태양, 인공광으로는 사진전구, 스트로보, 플래쉬 벌브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줌 (optical zoom)
실질적으로 다중 초점 거리를 갖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광학 줌은 디지탈 줌과는 구별되고 여러 개의 렌즈를 조합해서 움직이므로 초점 거리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으며 다양한 화각과 원근감 또는 멀리 있는 사물을 크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보통 2~3배 줌 이상을 내장하고 있는 제품이 많고 단초점 렌즈보다 선호하는 편이지만 렌즈밝기가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다.

광학 해상도 (optical resolution)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가 물리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절대값을 말한다. 디지탈로 포착된 이미지에서 각 픽셀당 RGB 값이 오리지널 장면으로부터 측정될 때 이미지 해상도는 인터폴레이션이 아닌 광학해상도를 가진다.

구경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직경의 렌즈 오프닝이다. 직경은 f스톱으로 표시되고, 렌즈의 초점거리를 f스톱으로 나누면 직경이 결정된다.

구면 수차
광축에 평행으로 입사된 빛이 렌즈를 투과할 때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한 빛이 렌즈의 중심부를 통과한 빛보다 더 짧은 거리에 초점을 맺는 현상으로서 렌즈의 표면이 구면의 형태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함 중의 하나이다.

그라데이션 (gradation)
계조라고도 한다. 네거티브나 인화상의 쉐도우와 하이라이트 사이의 농도 단계를 말한다.

그레이 카드 (gray card)
정해진 비율만큼의 광선을 반사하는 카드로 보통 반사율18%의 회색 면과 반사율90%의 백색 면을 가진다. 정확한 노출계의 수치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거나 컬러 작업에서 알고 있는 회색 톤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네거티브 (negative)
포지티브에 대한 반대어로 현상된 사진의 화상에서 피사체의 명암이 반대로 기록된 것을 말한다. 컬러 네거티브의 경우는 명암이 반대일 뿐 아니라 색도 그 보색이 된다.

노출 (exposure)
감광재료의 감광면에 빛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본의 광학용어 원안작성위원회에서는 대체적으로 수동측의 감광재료를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광으로 인간이나 조리개, 셔터 기구등 빛을 주는 측을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출로 정리하고 있다.

노출계 (exposure meter)
촬영에 필요한 적정 노출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산출하는 측광기구이다. 계산된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조합을 지시해 준다.

노출 보정
촬영의도에 따라 노출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노출 부족 (underexposure)
이미징 시스템에 전해진 빛의 양이 적어서 사진이 너무 어둡게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촬영시 노출부족이 되면 쉐도우 부분의 계조 재현이 어려워진다.

다이렉트 측광 (direct metering)
TTL 측광의 한 방식으로 노광 중에도 밝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스트로보와의 동조에도 이 다이렉트 측광이 이용되는데 이때는 스트로보의 발광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적정한 노광량을 얻도록 되어 있다.

다등 촬영
2개 이상의 플래쉬를 사용해서 입체감이 있는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단초점 렌즈 (prime lens)
초점거리가 일정한 교환렌즈로 줌 렌즈처럼 자유롭게 초점거리를 바꿀 수 있는 렌즈가 아니다. 단초점 렌즈는 빛을 심하게 굴절시켜 렌즈 뒤에 초점이 맺히므로 작은 이미지를 만들고 넓은 범위를 기록한다.

대구경 렌즈
렌즈의 초점거리에 비해 유효구경이 크고 밝은 렌즈를 대구경 렌즈라고 한다.

데이라이트 싱크로 (daylight synchro)
역광 상태의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래시가 필요 없는 낮일지라도 플래시를 발광시켜 적정 노출을 얻는 방법이다.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발광하는 것은 오토 데이라이트 싱크로라고 한다.

동조 (synchronize)
카메라 셔터가 열리는 것과 동시에 플래시가 터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디옵터 (diopter)
렌즈의 능력을 표시하는 광학적 용어로 사진에 있어서는 주로 클로즈업 보조 렌즈의 확대 능력과 초점 거리를 지칭한다.

디지탈 줌 (digital zoom)
촬영시 보여지는 이미지나 촬영한 사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으로 디지탈 줌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이미지의 해상도가 많이 떨어진다. 멀리 있는 피사체를 확대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지의 저하로 자주 사용하지는 않게 된다.


F 값 (F-number)
렌즈의 초점 거리를 주어진 렌즈 구경의 지름으로 나눈 수치로 렌즈의 밝기를 표현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밝은 렌즈이며 렌즈가 밝다는 것은 같은 조건에서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로 셔터스피드와 조리개를 좀 더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F값이 1.4배 차이가 나면 렌즈의 밝기는 두 배가 차이가 난다. 즉 F2.0과 F2.8의 렌즈 밝기는 두 배 차이이다.

IEEE-1284
카드리더기와 같은 기기나 프린터에 사용되는 고속의 양방향 전송 규격이다.

IEEE-1394
디지탈 비디오와 PC에서 사용되는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규격으로 파이어 와이어라고 알려져 있다. 주로 디지탈 가전 분야와 PC 멀티미디어 부문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만들어졌다.

IR (Infra-Red)
디지탈 카메라와 PC 또는 디지탈 카메라 상호간에 케이블 없이 무선(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IrDA
IrDA는 적외선 전송 규격으로 일부 디지탈 카메라에서 사용되었지만 전송속도가 너무 느려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 규격화된 수치로 수치가 높을 수록 빛에 민감하여 밝은 이미지를 구현하고 이미지가 조금 거칠어진다.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감도표시로 ASA (미국 규격협회)와 DIN (독일 공업규격)이 있었는데, 현재는 국제적으로 공통된 감도표시규격으로 ISO (국제표준화기구)가 보급되어 있다.

JPG
디지탈 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파일 포맷으로 JPEG라고도 한다. 국제표준화 기구와 국제전신 전화 자문기관이 공동으로 제정한 규격으로 디지탈 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일압축방식이다. 압축률을 여러가지로 정해줄 수 있는데, 압축률을 높일수록 사진의 화질은 떨어진다. 압축 후 용량이 작아서 사진파일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GIF 포맷 방식과 더불어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압축저장 방식이다.

LCD
액정 모니터를 뜻한다. 디지탈 카메라에는 보통의 TFT LCD와 저온 폴리실리콘 LCD가 사용되고 있다. LCD는 고해상도로 색의 표현이 자연스러운 장점이 있지만, 밝은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LCD라고 하는 야외에서도 밝게 보이는 액정이 나오고 있다.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우드로 반도체에 전압을 걸면 빨간색이나 녹색 또는 노란색으로 발광된다. 카메라나 전원 공급 장치 및 기타 기기에서 사용되는 불빛으로 저전압 소전력으로도 응답속도가 빠르므로 카메라 파인더 표시장치로 액정표시장치와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MB (Mega Byte)
메가바이트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램, 디지탈 카메라의 메모리 등 저장장치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1,024바이트는 1KB, 1,024KB는 1MB, 1,024MB는 1GB가 된다. 현재 디지탈 카메라에는 최소 2MB에서 512MB 용량의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다.

Mired (Micro Reciprocal Degree)
캘빈도에 기초한 색온도 눈금으로 미레드 눈금은 1,000,000을 캘빈 색온도로 나눔으로써 측정된다. 이러한 눈금은 색보정 필터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ND 필터
ND필터는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터이다. ND 뒤에 붙는 숫자가 커질수록 색이 진해지고 빛을 차단하는 역할이 높아진다. 광량이 지나치게 과다하여 노출오버가 되는 경우 ND 필터를 장착하여 광량을 줄여줄 수 있다.

Ni-Cd
니켈 카드늄으로 디지탈 카메라에 많이 사용되는 충전용 배터리의 한 종류이다. 니카드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Ni-MH
니켈 메탈수소로 이 역시 디지탈 카메라에 사용되는 충전용 배터리의 한 종류이다. 니켈 카드늄 전지에 비해 사용 가능시간이 길다.

NTSC
표준화된 비디오 출력방식의 하나로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디오 출력의 방식이다.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NTSC방식과 PAL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있지만 두 방식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므로 제품 구입시 방식을 확인해야 한다.

optical resolution (광학해상도)
디지탈로 포착된 이미지에서 각 픽셀당 RGB값이 오리지널 장면으로부터 측정될 때 이미지 해상도는 인터폴레이션이 아닌 광학해상도를 가진다.

PC 렌즈(perspective control lens)
사각 교정용의 렌즈로 35mm 일안 반사식 카메라 렌즈는 대형 카메라와 같이 보디 측에서 컨트롤할 수 없으므로, 렌즈의 경동 전반부에 상하 좌우 시프트 기능을 장치하여 상을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렌즈이다. 제조회사에 따라 TS 또는 시프트 렌즈라고도 한다.

PCMCIA
노트북에 마련된 확장용 카드 슬롯으로 컴팩트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노트북에 사용하고 할 경우 PCMCIA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다.

Pixelization
디지탈 이미지에서 계단처럼 왜곡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한다. 픽셀이 작고 그 수가 많을 수록 이미지의 계단현상이 줄어든다. 'jaggies'라고도 알려져 있다.

RGB
적색 (Red), 녹색 (Green), 청색 (Blue)의 약자로 다른 모든 컬러의 기본이 되는 색이다. 빛의 3원색인 RGB는 모두 합쳐질 경우 흰색이 된다.

RS-232
대부분의 PC에서 지원하는 시리얼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디지탈 카메라의 데이타 전송용으로 채택하고 있다.

내용출처 : [기타] http://www.dcinside.co.kr/


 

출처 : 자파리세상
글쓴이 : 자파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