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파리님

[스크랩] 제주사투리

속심해 2013. 9. 23. 21:08

제주방언의 특징 

 

언어는 한 나라의 문화와 숨결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알아야 한다고 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본토와 멀리 떨어져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표준어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마치 외국어를 듣는 것처럼 알아듣기가 힘들다. 특히 5-6세기 이전의 고어, 이른바 아래아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방언학 상에서 가장 진중하게 다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제주의 신비롭고 재미있는 방언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자연적 환경 속에서 엮어온 역사와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제주방언의 예시


[ 사람(호칭) ]
하르방 : 할아버지
할망 : 할머니
아방/어멍 : 아버지/어머니
비바리 : 처녀
괸당 : 친척
걸바시 : 거지
넹바리 : 시집간 색시
다슴아돌 : 의붓아들
말젯놈 : 세쨋놈
소나이 : 사나이
성님 : 형님
작산 거 : 어른이 된 사람
좀녀(좀녜) : 해녀
촐람생이 : 경솔한 사람
홀아방 : 홀아비
 
[ 신체 ]
가달 : 다리
꼴랑지 : 꼬리
구뚱배기 : 귀쪽 뺨
꽝 : 뼈
굴레 : '입'을 얕잡은 말
대망생이 : 머리
등땡이 : 등어리
또꼬망 : 똥구멍
모감지 : 멱살
베 봉탱이 : 배 불뚝이
베아지 볼라불라: 배 발로 밟아버린다
보댕이 : 여자의 성기(*지)
상판이 : 얼굴
야게기 : 목
야굴탁 : 턱
임댕이 : 이마
정겡이 : 정강이 (종아리)
저껭이 : 겨드랑이
조금태기 :간지롭게
조쟁이 : 남자의 성기(*지)
좀짐팽이 : 종아리
허운데기 :싸울때 '머리카락'을 얕잡은 말
허벅다리 : 넓적다리
놋 : 얼굴
[ 식생활 ]
간수메 : 통조림
개역 : 미숫가루
것 : 동물먹이
괴기 : 고기
바당괴기 : 바닷고기
돗괴기 : 돼지고기
쇠괴기 : 쇠고기
도괴기 : 돼지고기
곤떡 : 쌀로만든떡
곤밥 : 흰쌀밥
놈삐 : 무우
대사니 김치 : 마늘장아찌
마농 : 마늘, 파
모몰 조배기 : 메밀 수제비
촐래 : 반찬
촘지금 : 참기름
짐치(짐끼) : 김치
촙쏠 : 찹쌀
조팝 : 조밥
[ 의생활 ]
갈옷 : 감물 들인 옷
갈 적삼 : 감술 들인 적삼
갈 중이 : 감물을 들인 고의
강알 터진 바지 : 개구멍 바지
게와 : 호주머니
단취 : 단추 밀랑 페랭이 : 밀짚모자
보선 : 버선
소중이 : 속옷
신착 : 신짝
찍신 : 짚신
좀뱅이 : 잠방이
등지게 : 베옷에 감물 들인 것
고장중이 : 고쟁이
도폭 : 우두머니 돋은 거
두루막 : 두루마기
베불레기 : 아기 옷
우장 : 비온 날 털발립에
저구리 : 저고리
적삼 *봇디적삼
지성귀/지서귀 : 기저귀
쪼께 : 조끼
치메 : 치마
건대 : 건대, 상(喪)날 때 쓰는 거
복곳 : 복옷. 상 날 때 입는 치마
사모관대 : 사모관대. 결혼할 때
시미옷 : 손자들이 입던 상복
제복 : 상제옷
행경 : 행경. 상 날 때 다리에 끼는 거
망근 : 망건.
방립 : 상갓 닮은 거
벙것 : 벙거지
상갓 : 삿갓
유건 : 천제지낼 때 쓰는 거
탕근 : 탕건
풍뎅이 : 남자 쓰는 거
휘양 : 여자 쓰는 거
낭저 : 빈네 꽂은 머리
달리 : 놈의 머리로 크게 땋아 올린 것
빈네 : 비녀
상퉁이 : 상투
얼레기/얼레빗 : 머리빗
쪽도리 : 족두리
쳉빗 : 참빗
과지 : 무당 입는 옷
남신 : 나막신
송락 : 무당들 쓰는 모자
요령 : 방울
복치메 : 복치마. 상 날 때 입는 치마

[ 기구 ]
생활용구
농기구
구덕 : 바구니
고량착 : 대로 만든 채롱
낭푼이 : 양푼, 그릇
대배기 : 물긷는 그릇
덩두룽 마깨 : 짚 두리리게
물 구루마 : 마차
바농 : 바늘
박새기 : 바가지
숟구락 : 수저
제끄락 : 젓갈
주멩기 : 주머니
허벅 : 물을 길어나르는 통
국자 : 국 거리는 거
남죽 : 큰 밥주걱
대접 : 국사발
도고리 : 함지박
소리바굼지 : 도시락통
솔박 : 바가지의 일종
수박귀 : 밥사발
우금 : 작은 밥자
작박 : 솔박보다 작은 것
장탱이 : 설거지통
항 : 항아리
함박 : 나무로 만든 도고리
가레죽 : 삽
곡괭이 : 곡괭이
골각지/골갱이 : 호미
군데 : 고무래
날레군데: 날레 젓는 거
가레 : 맷돌
갈체 : 상태기
남테 : 쉐 대신 밭 발리는 거
도치 : 남 패는 거
돌끌 : 돌 발르는 끌
다께 : 도리깨
멍석 : 날레 너는 거
멕 : 멱서리
말방에 : 연자마
벤줄레 : 쐐괘
부게 : 씨앗 그릇
사당대축 : 노 꼬는 거
쉐스렁 : 쉐거름 낼 때
씻부게 : 씨앗 그릇
자귀 : 남 깎으는 거
잠데 : 쟁기
호미 : 낫
 
[ 동식물 ]
동 물
식 물
고냥 독생이 : 굴뚝새
놀개기 : 날개
박생이 : 동박새
독(독새기) : 닭
고냉이 : 고양이
송애기 : 송아지
몽생이 : 망아지
돗(도새기) : 돼지
밭갈쇠 : 밭을 가는 소
부랭이 : 숫소
염송애기 : 염소
강생이 : 강아지
중이 : 쥐
갓돔 : 도미
겡이 : 게
구젱기 : 소라
물꾸럭 : 문어
게염지 : 개미
멩마구리 : 맹꽁이
베랭이 : 버러지
베염 : 뱀
빙애기 : 병아리
생이 : 새
나람쥐 : 다람쥐
쥉이 : 쥐
여호 : 여우
노리 : 노루
빙아리 : 병아리
쉐 : 소
쉐막 : 외양간
다세기 : 돼지
두테비 : 두꺼비
골개비 : 개구리
젱비리 : 올챙이
송키 : 채소
지실 : 감자
감저 : 고구마
어욱 : 억새
태역 : 잔디
모물 : 메밀
굴묵낭 : 느티나무
가라지 : 강아지 풀
꿩마농 : 달래
도채비고장 : 산수국
숙대낭 : 삼나무
퐁낭 : 팽나무
 
[ 느낌 ]

가베또롱 호다 : 가뿐하다
간드랑 호다 : 시원하다
간세 호다 : 게으르다
거령청 호다 : 분수가 없다
곧작 호다 : 곧다
과랑과랑 호다 : 쨍쨍하다
금착 호다 : 조마조마하다
고렵다 : 가렵다
돌코롬 호다 : 달콤하다
메뜩 호다 : 통쾌하다
멘도롱 호다 : 따뜻하다
모드락 호다 : 한곳에 모여있다
몰치락 호다 : 포동포동 하다
벤조롱 호다 : 젊게 보이다
부치럽다 : 부끄럽다
돌글랑 호다 : 동그랗다
봉끄랑 호다 : 퉁퉁하다
보랑지다 : 부지런하다
펀드렁 호다 : 시치미를 뗀 모양
해또록 호다 : 희끔하다
산도록 호다 : 시원하다

썸찌근 호다 : 지긋지긋 하다
실렵다 : 차겁다
심드랑 호다 : 관심이 없다
슴두렁 펀펀호다 : 아무런 가치없다
솔치다 : 살찌다
앙살 호다 : 사납게 소리치다
앨록 호다 : 더럽다의 어린이 말
어중구랑 호다 : 흐리멍텅하다
얼랍지다 : 당황하다, 궁금하다
엄부랑 호다 : 엄청나다
오들랑 호다 : 작아서 위로 치켜 뜬 모양
옴탕 호다 : 오목하다의 센말
왁왁 호다 : 캄캄하다
왕왕작작 호다 : 떠들썩 하다
요망지다 : 똑똑하다
조짝 호다 : 불쑥 나타나 있다
좀질다 : 가늘다
좀좀 호다 : 잠잠하다
패랍다 : 까다롭다
 
[ 시간/때 ]
그저끼 : 그저께
아척 : 아침
그지게 초냑 : 그저께 저녁
언처냑 : 엊저녁
요뉠 모리 : 내일 모레
소시 : 요사이
숭년 : 흉년
저슬들언 : 겨울 된
 
[ 행동 ]
갈라지다 : 헤어지다
데싸지다 : 자빠지다
감장돌다 : 맴돌다
거느리 왕 상 호다 : 남의 일을 비평하다
거들락 거리다 : 꺼떡거리다
거찌다 : 건드리다
걸러지다 : 거꾸러지다
고른배기 : 호다 박자의 강한 말
고쩌사다 : 비켜서다
곤작 싸다 : 재주 넘다
꼴 성그리다 : 얼굴을 찡그리다
곱지다 : 숨기다
구숭 호다 : 불평을 말하다
꾸러 박아지다 : 거꾸로 박히다
귀 태우다 : 은밀히 알려주다
고끼다 : 숨막히다
골메 드리다 : 차례로 바꾸다
늘짝 거리다 : 늑장 부리다
 
끼리다 : 미끄러지다
다울리다 : 재촉하다
댕기다 : 다니다
데껴 불다 : 던져버리다
되싸 지다 : 갈라지다
들럭 퀴다 : 날 뛰다
몽캐다 : 느리다, 꾸물거리다
베르 싸다 : 속이 보이게 열다
부수닥질 호다 :부수어 버리다
부에 나다 : 화나다
쎄울르다 : 고함지르다
소곤닥 호다 : 소근거리다
소도리 호다 : 소문내다
속솜 호다 : 잠잠하다
심벡 호다 : 겨루다
악살 호다 : 욕설하다
용심 내다 : 성내다
조글리다 : 간지럽히다
저들다 : 걱정하다
 
[ 속담 ]
물빡으로 물먹으민 시염 안돋나. : 물바가지로 물 마시면 수염 안난다.
물애기 옷을 막개로 뽈민 애기놀랜다. : 갓난아이 옷을 방망이로 빨면 아기가 놀랜다.
밤에 얼래기질 호민 모솜탄다. : 밤에 머리 빗으면 무서움 탄다.
비는 놈안틴 지여사 혼다. : 비는 자에게는 용서해 주어야 한다.
비 온날 쇠총지 이레 착 저레 착 혼다. : 비오는 날 쇠꼬리 이리 착 저리 착 흔든다.
빈 고래질 호민 숭년 든다. : 빈 맷돌질 하면 흉년 든다.
 
[ 기타 ]
다솟 : 다섯
예늘곱 : 예닐곱
요든 : 여든
일고 여답 : 일곱 여덟
요나문 : 여나믄
요섯 : 여섯
호나 : 하나
혼잠녀 : 해녀
상군 : 물질 잘 하는 사람
요년난거 : 어린처녀 욕할때
볼망텡이 : 밤따귀
미리내 : 은하수
비주제 : 소나기
상고지 : 무지개
우네 : 안개
노릇 : 공기
낭 강알 : 나무그늘
돌 : 달
볠 : 별
돌생기 : 돌맹이
작지왓 : 자갈밭
구들 : 방
통시, 벤소 : 화장실
석 : 줄
밭돌랭이 : 작은밭
돌 : 한 달
 
[ 일상대화 ]
예 고맙쑤다. : 예 고맙습니다.
잘 갑써양. : 잘 가십시요.
나 이녁 소못 소랑헴수다. : 제가 당신을 무척 사랑합니다.
서방 조 끝에 고치 앉즙써. : 남편 옆에 같이 앉으세요.
사름 잇수과. : 사람 있습니까.
잘 이십디강? : 잘 있었습니까?
아방, 어멍 다 펜안햇수과? : 아버지,어머니 모두 편안하셨습니까?
데멩이 맹심헙써. : 머리 조심하세요.
어디 갓당 왐쑤과? : 어디갔다가 오십니까?
지 것은 족아 벤다. : 자기 것은 작게 보인다.
누게꽈? : 누구십니까?
나 상우댕이 고우꽝. : 제 얼굴이 예쁘지요.
고우멍 말멍 허우다. : 별로 이쁘지 않네요.
오천원마씀. : 오천원입니다.
아이구, 큰일 낫수다. : 아이구(강함), 큰일 났습니다.
어떵 생겨서? : 어떻게 생겼던가?
어디가코 마시? : 어디로 모실까요?
요망지게 생겨십디다. : 똑똑하고 영리하게 생겼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살게 마씀.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삽시다.
맨드롱 햇수과? : 따스합니까?
무사 마씀? : 왜 그러십니까?
오젠허난 폭삭 속아수다. : 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재기재기 보질보질 혼저옵서. : 빨리빨리 더 빨리 오세요.
촘말로 곱고 몬트락 허우다. : 참말로 이쁘고 둥실둥실합니다.
고멍 말멍 허우다. : 별로 이쁘지 않아요.
이딘 보름도 하영 불엄져. : 이곳은 바람도 많이 불고 있네.
소민나민 난 몰라. : 소문나면 저는 모른다.
이디와부난 어멍 보지 그립다. : 이곳에 있으니 엄마 보고싶다.
지천 자지 그립다. : 지쳐서 잠이 온다.
뱃은 과랑과랑 모살은 삔찍삔찍 :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반짝
아무거앤 고라도 귀눈이 왁왁 : 아무리 이야기 하여도 귀와 눈이 캄캄
할망 감져 처 먹읍서. : 할머니 고구마 쪄서 드세요.
게메 마씀. : 그러기에 말입니다.
날 봅서. : 여보십시오(나를 보십시오).
제나콰니여. : 잘되어 버렸다(나무랄 때).
으마떵호리 : 어마, 어떻게 하지.

 

 
자료출처 ; 제주상예마을(http://sangye.invil.org/)

 

 

 

출처 : 자파리세상
글쓴이 : 자파리 원글보기
메모 :